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관세 무풍지대, 지금은 ‘조선·방산·바이오’가 뜬다
최근 중국이 반도체 수입 시 ‘웨이퍼 생산지 기준 원산지 규정’을 새롭게 명시하며, 글로벌 기술 공급망에 지각 변동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산 칩에는 고율 관세, 한국·대만은 회피 가능성 등이 언급되면서 글로벌 반도체 섹터는 무역 전쟁의 최전선에 서게 되었죠.
하지만, 이런 통상 리스크의 파고를 상대적으로 피하고 있는 산업군이 있습니다.
바로 조선·방산·바이오 섹터입니다.
⚓️ 1. 조선 – 글로벌 수주 랠리 지속, 관세 무풍 수혜주
✅ 왜 조선업은 관세 이슈에서 자유로운가?
- 제품(선박)은 대부분 ‘주문제작 방식’으로 수출
- 기술 유출 우려 적고, 생산지 이전도 비효율적
- 중국이 경쟁국이긴 하나, 고부가가치 LNG선, 군함, 크루즈 등은 한국 독점
📈 투자 포인트
- 삼성重·현대重·한국조선해양 등 LNG선 대규모 수주 지속
- IMO 친환경 규제 강화 → 메탄올·암모니아 추진선 전환 수혜
- 선박 공급 부족 → 운임 회복세 → 신규 발주 증가
⚠️ 리스크
- 원자재 가격 상승 → 선가 상승 압박
- 중국 저가 공세(벌크선, 중소형 컨선 등) 여전
🛡 2. 방산 – 지정학 리스크가 낳은 절대 강세
✅ 관세 영향 없는 대표 산업
- 대부분 국가 간 정부계약(G2G)
- 무기·장비는 군사 전략 자산 → 글로벌 무역분쟁 예외 처리 대상
- 미·중 패권 다툼과 별개로 전 세계 방산 수요 급증
📈 투자 포인트
- 폴란드·호주·사우디향 대형 수출 계약 잇따름
- K-방산 대표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국항공우주·LIG넥스원 모두 수주 호황
- NATO,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시장 확대
⚠️ 리스크
- 단기 실적보다 수주 후 납기까지 시간차 존재
- 정치적 변수(정권교체, 무기수출 승인 등)에 민감
🧬 3. 바이오 – 글로벌 협력 기반 + 무역전쟁 이슈 영향 미미
✅ 바이오는 국경을 넘는다
- 의약품·백신·세포치료제 등은 전 세계 공급망 협업 구조
- 대부분 미국, 유럽, 한국, 일본 간 공동개발/생산/임상
- 중국/미국 간 관세 분쟁 영향권 바깥
📈 투자 포인트
- mRNA 기반 신약개발: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SK바이오사이언스
- CDMO 수요 증가: 글로벌 제약사와의 장기 수주
- 유럽-미국 이원화된 임상 전략 강화
⚠️ 리스크
- FDA 허가, 임상 실패 등 고위험 이벤트
- 글로벌 금리상승기 → 성장주 조정 우려
🎯 마무리: 무역 전쟁의 소용돌이 속, 고요한 바람을 타라
지금처럼 미·중 기술 패권이 격화되고,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이 통상전쟁의 최전선에 놓인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정치적·무역적 리스크가 적은 섹터에 대한 전략적 관심이 필요합니다.
🔍 "변동성의 시대엔, 리스크가 적은 섹터가 곧 수익이다."
📊 투자자가 주목할 종목 리스트
섹터 | 대표 수혜주 | 특징 |
조선 |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 | 고부가 LNG선 집중 |
방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 중동·유럽 수주 랠리 |
바이오 | 삼성바이오로직스, 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유한양행 | 글로벌 제약사 CDMO 파트너 or 기술 수출 |
🌐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안전한 투자처’를 찾는다면 바로 이 3개 섹터가 그 해답입니다.
라오어 무한매수법 투자 전략 정리
📈 라오어 무한매수법 투자 전략 정리 (3배 레버리지 ETF 전략) 주식 시장이 불확실할수록, 더욱 강력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최근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는 라
issue.j-nest.com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치, 중국 국가신용등급 'A+' → 'A' 강등 (0) | 2025.04.13 |
---|---|
미국-이란, 10년 만에 최고위급 핵협상 재개…중동 정세에 봄바람 불까? (0) | 2025.04.13 |
중국 반도체 원산지 기준 변경 이유 (0) | 2025.04.12 |
라오어 무한매수법 투자 전략 정리 (0) | 2025.04.07 |
이재명 신재생 정책 풍력 관련주 테마주 Top 6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