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피치, 중국 국가신용등급 'A+' → 'A' 강등…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피치, 중국 국가신용등급 'A+' → 'A' 강등

     

    2025년 4월,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피치(Fitch Ratings)가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로 강등했습니다.
    18년 만의 하향 조정입니다.


    이는 단순히 숫자 하나가 바뀐 게 아니라, 세계 2위 경제 대국의 재정건전성과 미래 성장성에 '구조적 의문'이 제기된 사건입니다.


    🧭 왜 등급이 강등됐나?

     

    피치가 밝힌 핵심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1. 과도한 재정지출 확대

     

    • 2025년 재정적자 목표: GDP의 4%
    • 하지만 실제 피치 예상치는: GDP의 8.4% (지방정부 포함)
    • 이는 A등급 평균 2.7%를 크게 초과

    ✅ 2. 국가부채 급증

     

    • 2023년: GDP 대비 60.9%
    • 2024년: 68.3%
    • 2025년 예상: 74.2%까지 상승

    ✅ 3. 세수 구조 악화

     

    • 감세 정책 + 부동산 침체 → 지방정부 토지 매각 수익 급감
    • 2025년 재정수입/GDP 비율: 21.3% (2018년 대비 -8%p)

    ✅ 4. 성장률 둔화

     

    • 올해 성장률 예상: 4.4%
    • IMF 전망조차 4.5~4.6%에 그침
    • 디플레이션 압력 + 소비 위축 여전

    🔥 여기에 '트럼프의 상호관세 125%'는 아직 반영조차 안 됐다!

     

    피치 보고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125% 관세 폭탄 이전에 작성된 것입니다.
    즉, 향후 관세전쟁 격화 시 신용등급 추가 하향 리스크도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 현재 신용등급은 'A(안정적)'
    📉 추가 악화 시 → 'A-', 또는 'A(부정적)' 하향 리스크 존재


    📊 시장 영향은?


    CDS 프리미엄 급등 → 중국 국채 부도위험 지표, 44 → 82bps 두 달 새 폭등
    중국 국채 발행 비용 증가 → 외국인 대상 녹색국채 등 금리 상승 압력
    중국 기업 신용 스프레드 확대 → 국영기업 및 지방정부 산하 기업 차입비용 상승
    위안화 환율 약세 압력 → 자본 유출 가능성 증가, 위안화 국제화 역풍

    ✅ 투자자 관점 핵심 정리


    📌 중국 경기부양 의존 심화 → 인프라/건설/내수소비 중심 정책 지속 예상
    📌 글로벌 투자 선호도 재편 → 중국 비중 축소 → 한국, 인도, 베트남 등 신흥국 수혜 가능성
    📌 한국 기업 리스크/기회 병존 → 중국향 비중 높은 반도체/소재주는 부담, 내수 대체 기업엔 기회

    📝 마무리: 신용등급은 시장의 '경고음'이다

     

    피치의 등급 강등은 단순한 숫자 조정이 아닙니다.
    전 세계 금융시장과 투자자들에게 '중국 리스크에 대비하라'는 강력한 경고음이 울린 셈입니다.

     

    앞으로 중국발 충격은 단기 이벤트가 아닌, 구조적 전환기에 들어선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당장은 금융시장 변동성, 중장기적으로는 투자 비중 재편의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미국-이란, 10년 만에 최고위급 핵협상 재개…중동 정세에 봄바람 불까?

    미국-이란, 10년 만에 최고위급 핵협상 재개…중동 정세에 봄바람 불까?  2025년 4월 12일, 미국과 이란이 10년 만에 최고위급 핵협상을 재개했습니다. 협상 장소는 중립국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

    issue.j-nest.com

     

    반응형